□ 방송일시 : 2025년 11월 17일 (월)
□ 진행 : 박귀빈 아나운서
□ 출연자: ☎ 서울시 복지정책과 지명희 복지정보팀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를 바랍니다.
◆ 박귀빈 : 생활 백서 오늘은 서울시로 가봅니다. 서울시에서는 시민들을 위한 다양한 복지 서비스 많이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런 복지 정보를 한 번에 찾고 신청하고 상담까지 한 번에 끝낼 수 있는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고 그래요. ‘서울 복지 포털’ 이번에 더 서비스를 확대하고 개편했다고 하는데요. 자세한 내용 알아보죠. 서울시 복지정책과 지명희 복지정보팀장과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팀장님 안녕하세요
◇ 지명희 : 안녕하세요. 서울시 복지정보팀장 지명희입니다.
◆ 박귀빈 : ‘서울복지포털’ 모르시는 분들 계실 것 같거든요. 간단하게 소개부터 해 주실까요?
◇ 지명희 : 네 ‘서울복지포털’은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복지 서비스에 대해서 통합적으로 안내하고 신청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어르신과 장애인 대상의 복지시설 안내는 물론이고요. 영유아부터 노년층까지 자신에게 맞는 복지 서비스를 쉽게 찾을 수 있고 복지 서비스 신청도 할 수 있습니다. 서울 시민 모두가 개인별 맞춤 복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 박귀빈 : 복지 서비스라고 하면 보통은 취약계층 분들에게 서비스를 해야 하는 이런 것들을 많이들 생각하시거든요. 그런데 다양한 아이부터 노년층까지 다양한 정보를 찾아볼 수 있는 곳이네요?
◇ 지명희 : 그렇습니다. 서울복지포털에서는 영유아부터 청년, 노년, 저소득층, 장애인, 1인 가구 등 다문화 가족까지 다양한 연령과 가구 그리고 주거, 일자리, 보육 등 여러 분야의 복지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단순히 복지 정보를 모아서 안내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실제로 필요한 서비스를 온라인에서 신청도 할 수 있습니다.
◆ 박귀빈 : 그렇군요. 서울복지포털에 대해서 오늘 자세히 설명을 해 주신다고 하니까요. 청취자 여러분 잘 들어봐 주시면 좋겠습니다. 지난주에 새롭게 개편이 됐네요. 어떤 부분들이 달라지나요?
◇ 지명희 : 크게 달라진 부분은 안내하는 내용이 아주 많아졌습니다. 기존에는 복지실에 87종만 안내했는데요. 이제는 서울시 모든 부서에 시행 중인 주요한 복지 서비스 212종을 안내하게 된 것입니다. 새롭게 안내를 시작하는 복지 서비스에 대해서는요. 서울복지포털에서 기본적인 개요를 안내하고 전용 누리집으로 연계해서 자세한 내용과 온라인 신청까지 하실 수 있습니다. 메인 페이지에는 시민이 원하는 복지 정보를 직관적으로 찾으실 수 있도록 재구성했는데요. 특히 서울복지재단 메뉴를 추가했습니다. ‘꿈나래 통장’이나 ‘청년부상 제대군인 지원’ 등 6종 복지 서비스를 안내하고 신청과 상담도 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메인 페이지 하단에는 보건복지부 ‘복지멤버십서비스’를 저희가 새롭게 만들었습니다. ‘내가 신청할 수 있는 복지 서비스’를 안내받으실 수 있습니다.
◆ 박귀빈 : 서울복지포털, 새롭게 개편이 됐는데요. 기존에는 87종의 복지 서비스를 안내했다면 여기에 212종으로 확대가 된 거예요. 많은 부분이 좀 추가가 됐군요. 검색하는 데에서도 좀 변화가 있었다면서요?
◇ 지명희 : 맞습니다. 가장 큰 변화 중 하나가 시민들이 많이 사용하시는 복지 서비스에 대한 검색입니다. 이를 강화했는데요. 기존보다 세밀하게 복지 서비스를 검색할 수 있도록 조건을 다양화했습니다. 청소년, 청년, 중장년 등의 생애 주기별 그리고 저소득, 장애인, 1인 가구 등의 ‘가구’ 유형별, 건강, 생활, 지원, 주거 등의 ‘복지’ 분야별로 촘촘히 검색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검색하신 후에 결과를 보시는 방법인데요. 이전에는 한꺼번에 다 모아서 일괄 안내를 했는데요. 우선순위를 반영해서 시민이 선택한 조건에 완전히 부합하는 결과를 먼저 안내받으시도록 변경했습니다.
◆ 박귀빈 : 서울복지포털 기존에 서울시에서 이미 시행하고 있었던 사이트이긴 한데 이번에 개편이 됐습니다. 내용도 많이 늘어났고 검색하는 것도 더 쉽게 청취자 여러분들이 우리 시민들이 찾아볼 수 있도록 개편이 된 건데요. 청소년, 청년, 중장년층의 ‘생애주기별’, 저소득, 장애인, 1인 가구 등의 ‘가구’ 유형별 건강, 생활지원, 주거 등의 ‘복지’ 분야별로 꼼꼼하게 좀 안내를 받으실 수 있다는 거고요. 항목을 보니까 다양하게 나와 있습니다. 시민들도 이게 나한테 어떤 게 필요하겠구나 조금 더 쉽게 찾아보실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이 서울복지포털 어떻게 들어가면 될까요?
◇ 지명희 : 네, ‘서울복지포털’은 wis.seoul.go.kr로 접속하시거나.인터넷 포털 검색창에 ‘서울복지포털’을 검색하시면 되고요. 회원가입 없이 사용하실 수 있으니, 접속해 보시기 바랍니다.
◆ 박귀빈 : 네. 서울 시민 여러분 기억하시면 좋겠습니다. 서울복지포털 포털 사이트에 검색하셔서 들어가셔서 회원 가입 없이 찾아보실 수 있다고 하니까 나한테 맞는 복지 서비스 뭐가 있나 한번 찾아보시죠. 팀장님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들을게요. 고맙습니다.
◇ 지명희 : 감사합니다.
◆ 박귀빈 : 지금까지 서울시 복지정책과 지명희 복지정보팀장이었습니다.
[저작권자(c) YTN radio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