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TN 라디오 앱 소개

YTN 라디오


인터뷰전문

방송시간[월~금] 10:15~11:30
제작진진행: 박귀빈 / PD: 이시은 / 작가: 김은진
콘택트렌즈 세척액, 온라인 구매할 때 '이것' 반드시 확인
2025-08-07 12:27 작게 크게
YTN라디오(FM 94.5) [YTN 뉴스FM 슬기로운 라디오생활]
□ 방송일시 : 2025년 08월 07일 (목)
□ 진행 : 박귀빈 아나운서
□ 출연자 : 송현수 식약처 의약외품정책과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를 바랍니다.


◆박귀빈 아나운서(이하 박귀빈): 식약처와 함께하는 생활백서 시간입니다. 여름 휴가철 맞아서 물놀이 하시는 분들 많을 텐데요, 물놀이할 때는 불편한 안경보다는 콘텍트렌즈 착용하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다고 해요. 그런데 이 렌즈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세척 보존 제품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는데요. 오늘은 여름철 눈 건강 지키기 위해서 꼭 알아야 하는 이 렌즈 관리 용품의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죠.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외품정책과 송현수 과장 전화 연결합니다. 과장님, 안녕하세요

◇송현수 식약처 의약외품정책과장(이하 송현수): 안녕하세요, 식약처 의약외품정책과장 송현수입니다.

◆박귀빈: 여름철에는 안경이 좀 답답해서 렌즈 끼시는 분들 많다고 하던데요.이 렌즈를 관리하는 제품이 콘텍트렌즈 관리용품인 건가요?

◇송현수: 네, 맞습니다. 콘택트렌즈를 올바르게 사용하려면 렌즈를 깨끗이 세척·소독하고, 보관 용기에 보존액과 함께 넣어 보관해야 하는데요, 이처럼 콘택트렌즈의 세척, 보존, 소독, 헹굼 등에 사용하는 물품을 식약처에서 의약외품 ‘콘택트렌즈 관리용품’으로 지정·관리하고 있습니다. 

◆박귀빈: 콘텍트렌즈 관리용품 렌즈 세척하고 보존할 때 사용하는 제품인 건데요. 그러면 이 하나의 제품으로 세척도 하고 보존도 하고 소독도 하고 다 하는 거예요?

◇송현수: 콘택트렌즈관리용품은 간략히 말하자면 ‘세정액, 단백질제거제, 다목적 관리용액’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요, 통상 염화나트륨이 주성분인‘세정액’은  렌즈 세척하거나 행구는 용액으로 사용하는 제품이고, 프로테아제, 단백질 분해효소 등이 주성분인 ‘단백질 제거제’는 렌즈에 쌓인 단백질 찌꺼기를 제거해주는 용도로 단백질 침착이 많은 경우에 사용합니다. 마지막으로, ‘다목적용액’은 대표적으로 ‘염산폴리헥사메칠렌비구아니드(PHMB)’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품으로서 렌즈의 세척, 보존, 소독, 헹굼을 한 번에 할 수 있어 대중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제품입니다. 따라서 콘택트렌즈관리용품을 구매할 때에는 제품에 표시된 효능·효과를 확인하고 사용 목적에 맞는 제품을 선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박귀빈: 그러면 제품을 사러 갔을 때 그 표시된 주 성분을 확인해야 되는 거네요?

◇송현수: 네 맞습니다.

◆박귀빈: 그래서 단백질 제거제가 주성분인 경우가 뭔지, 또 다목적 용액으로 된 제품으로 고르셔야 되고 그렇군요. 꼼꼼히 확인을 하셔야 되네요. 아무거나 사시면 내가 원하는 제품이 아닐 수도 있겠군요?

◇송현수: 네, 성분뿐만이 아니라 앞서 말씀드린 대로 이제 제품에 표시된 효능·효과에도 그런 부분이 정확하게 기재가 돼 있으니까요. 효능·효과와 사용 시 주의사항을 같이 확인하셔서 원하는 종류에 맞는 제품을 구매하시면 되겠습니다.

◆박귀빈: 효능·효과에 세정액, 단백질 제거제, 다목적 관리용액 이런 식으로 다 구분이 돼 있단 말씀이시군요.

◇송현수: 일단은 그런 부분도 같이 표현이 돼 있으면서 이제 소프트렌즈, 하드렌즈 그 다음에 아까 세척 용도인지 단백질 제거 용도인지 이런 게 상세하게 효능·효과에 나타나 있습니다.


◆박귀빈: 렌즈도 지금 말씀하셨던 것처럼 소프트렌즈 있고 하드렌즈 있고 그렇잖아요. 그러면 이 렌즈 종류에 따라서도 사용해야 되는 제품을 구별해서 써야 되는 건가요?

◇송현수:  맞습니다. 렌즈의 종류에 따라 렌즈에 흡착되는 이물질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콘택트렌즈관리용품도 다르게 사용하셔야 하는데요, 소프트렌즈는 수분을 잘 흡수하는 재질로 만들어져 있어서, 단백질이 쉽게 달라붙는 성질이 있습니다. 그래서 소프트렌즈를 세척할 때는 단백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해주는 전용 세정액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면, 하드렌즈는 눈물 속의 기름 성분 즉, 지질이 렌즈에 들러붙기 쉬워 계면활성제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하드렌즈 전용 세정액을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앞서 말씀드린대로 제품에 표시된 효능·효과와 사용상 주의사항을 확인하여 착용하는 렌즈의 종류에 맞은 제품을 구매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박귀빈: 콘텍트렌즈를 올바르게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되는지 사용법도 짚어주시겠어요?

◇송현수: 먼저, 콘택트렌즈를 만지기 전에는 항상 손을 깨끗이 닦고 눈에 착용한 후에는 콘택트렌즈 보존용기 안에 있는 용액은 즉시 버리고 보존용기를 깨끗하게 세척한 다음 건조시켜야 합니다. 콘택트렌즈 제거 후에는 콘택트렌즈를 항상 세척·소독하고, 좌, 우를 정확히 구분하여 보존액이 들어있는 용기에 넣어 보관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콘택트렌즈관리용품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기의 제품 마개부분을 손으로 만지지 말아야 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마개를 꼭 닫아 실온에서 보관하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콘택트렌즈관리용품은 코 안을 세척하거나, 눈에 직접 넣어 사용하는 등 콘택트렌즈관리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절대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박귀빈: 렌즈가 눈에 직접 닿는 제품이다 보니까 오래 사용하면 눈이 충혈이 되는 경우가 있더라고요. 반드시 주의해야 되는 사항들 알려주시겠어요?

◇송현수: 문제가 있다면 아무래도 심각한 장애가 나타날 수밖에 없는데요. 눈이 불편하거나 과도한 눈물 혹은 충혈 등이 나타나면 즉시 렌즈를 제거하고 전문의와 상담하셔야 합니다. 이외에도 콘택트렌즈 관리용품 제품의 포장지나 설명서에 효능·효과 사용상 주의사항 등이 안내되어 있으니까 사용 전에 반드시 꼼꼼히 읽은 후 사용하시면 더 좋습니다.


◆박귀빈: 콘택트렌즈관리용품에 대해서 앞서 알려주셨는데요. 어디서 구매하면 되나요? 안경점 가야 되나요?

◇송현수: 아닙니다. 콘택트렌즈관리용품은 의약외품으로 안경점 뿐만 아니라 약국, 마트, 온라인 등에서 손쉽게 구매가 가능합니다. 다만, 인터넷으로 구매할 때는 해외직구 제품은 아닌지 확인 후 구매하셔야 하는데요, 의약외품으로 허가, 신고된‘콘택트렌즈관리용품’는 효과나 안전성, 그리고 품질에 대해 입증하여 관리하고 있으나 해외직구를 통해 구매한 제품은 식약처로부터 업체의 제조·품질 관리를 인정받은 것이 아니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서는 식약처에서 정식 허가 받은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참고로, 식약처의 허가를 받은 의약외품은 제품 포장에 ‘의약외품’이라는 글자가 표시되어 있으니 반드시 확인하고 구매하시기 바랍니다.

◆박귀빈: 인터넷으로 구매하실 때 해외 직구 제품은 아닌지 확인하셔야 됩니다. 왜냐하면 식약처로부터 관리를 받는 제품을 사셔야 되니까요. 정식 허가 받은 제품 사셔야 되니까 의약외품이라는 글자가 제품 겉면에 표시돼 있는지 반드시 확인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과장님 끝으로 하실 말씀 있으실까요? 당부의 말씀 있으시면 한 말씀 부탁드려요.

◇송현수: 의약외품은 질병의 치료나 예방 등 목적으로 의약품에 비해 비교적 약하게 인체에 작용되는 물품입니다. ‘콘택트렌즈 관리용품’ 외에도 ‘생리대, 마스크, 치약’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다양한 품목군이 포함되어 있어 식약처의 든든한 안전관리 역할은 국민 건강을 위해 필수적인 사항이라 생각합니다. 이처럼 앞으로도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국민 생활필수품인 ‘의약외품’을 더욱 더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박귀빈: 네, 지금까지 식약처 송현수 의약외품정책과장이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저작권자(c) YTN radio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