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행 : 조태현 기자
■ 방송일 : 2025년 3월 11일 (화요일)
■ 대담 : 우리은행 WM영업전략부 유혁 포트폴리오 매니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를 바랍니다.
◆ 조태현 기자(이하 조태현) : 끝으로 부자가 되는 대세 정보를 전해드리는 시간, 마련했습니다. 각 분야 전문가들에게 각종 정보들 들어보는 시간 부자 대세 시간이고요. 오늘은 우리은행 WM영업전략부 유혁 포트폴리오 매니저님과 함께 하겠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포트폴리오 매니저가 무슨 일입니까?
◇ 우리은행 WM영업전략부 유혁 포트폴리오 매니저(이하 유혁) : 최근 시장 상황들과 고객님들의 어떤 투자 성향이나 그다음에 고객님의 투자 경험 같은 거를 감안해서 현재 고객님들이 가지고 있는 포트폴리오가 과연 지금 시장 상황 여러 가지 그런 걸 봤을 때 잘 운영이 되고 있는지를 점검해 드리는 역할을 하고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포트폴리오가 한쪽으로 쏠려 있는 경우는 그런 것들을 재조정해 가지고 바로잡아줄 수 있는 그런 역할을 하고 있는데, 어떤 경우는 전혀 포트폴리오 없는 고객분들한테도 새로운 포트폴리오를 제안을 드릴 때 투자를 새로 시작하는 분들한테도 어떻게 하면 안정적인 포트폴리오를 가져갈 수 있는지 그런 걸 제안드리는 역할 그런 역할들을 주로 하고 있습니다.
◆ 조태현 : 그러니까 포트폴리오 컨설턴트다 이렇게 보면 되겠네요. 알겠습니다. 오늘은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분산 투자의 중요성이라는 주제로 준비를 해 오셨다라고 들었는데 일단은 간밤 상황 어떻게 보셨습니까?
◇ 유혁 : 예 좋지 않더라고요. 저도 새벽 한 3시쯤 깼는데 저도 모르게 잠깐 화면을 열어봤는데 시장이 많이 하락을 해 가지고 마음이 무거웠습니다.
◆ 조태현 : 저는 안 좋을 건 예상을 했지만 예상보다 더 안 좋았다라는 그렇게 봤거든요. 그런데 이럴 때야말로 분산 투자가 더더욱 중요한 그런 시점이 아닌가라는 생각도 드는데 어떤 사례 준비해 오신 겁니까?
◇ 유혁 : 아무래도 제가 은행에서 다양한 고객분들을 만나다 보니까 다양한 사례를 보게 됩니다. 그중에서도 분산투자의 입각에서 조금 한쪽 자산으로 많이 쏠려 있는 경우들을 많이 보게 되는데요. 실제 사례를 제가 한 두세 개 정도 준비를 해 봤어요.
◆ 조태현 : 어떤 내용입니까?
◇ 유혁 : 네 구체적으로 먼저 특정 상품에 쏠리는 경향들이 있는 그런 사례가 있는데요. 예를 들어서 구조화 상품이라고 하는 흔히 시장에서는 ELS라고 많이 알려져 있는데 그런 구조화 상품들을 많이 보유하고 계신 분들이 많으신 편이에요. 그게 아무래도 왜 그러면 고객분들이 이런 구조화 상품을 많이 보유하게 될까 하는 그런 생각을 해 보다 보니까 은행 거래하시는 분들한테 구조화 상품이 상당히 어찌 보면 안정감을 줄 수 있는 그런 성격이지 않을까 하는 그런 측면들이 있어 보이더라고요. 일단은 시장이 하락을 하더라도 많이만 하락하지 않으면은 주기로 했던 쿠폰을 이자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그런 구조인 데다가 상품의 구조에 따라서 우리 흔히 조기 상환 조건을 베리어라고 많이 얘기를 하는데요. 그런 조건에 따라서는 보통은 일반적으로 은행 예금보다는 많게는 한 두세 배 이상 가까운 그런 이자를 수취할 수 있기 때문에 그리고 시장 상황이 크게 이상하지만 않는다 한다 그러면 6개월 내지는 1년 안에 상환되는 그런 케이스들이 많다 보니까 아무래도 은행 거래하시는 분들 입장에서는 은행 상품에 비추어 봤을 때 정기 예금과 같은 그런 친숙한 어떤 그런 부분들도 거기에 상품에 상당히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어떤 상품이죠. 근데 사실은 ELS라는 상품이 그렇게 안전한 상품은 아니거든요.
◆ 조태현 : 원금 보장도 안 되죠.
◇ 유혁 : 맞습니다. 이게 하락이 많이 하면은 많게는 적어도 40% 이상 50% 이상 손실 나는 케이스들이 왕왕 발생되고 실제 작년 같은 경우도 그런 이슈로 인해서 조금 일부 문제가 됐던 그런 상품이기도 합니다.
◆ 조태현 : 쏠리는 거는 위험할 수 있겠습니다. 그런 케이스 말씀을 해 주셨고 다른 케이스는 어떤 게 있습니까?
◇ 유혁 : 예 다른 케이스는 특정 상품이라기보다는 특정 지역에, 또는 특정 산업에 쏠리는 경향들이 있어요. 그러니까 아까 그 상품에 쏠리는 경향하고 비슷하게 어떤 쏠림 현상은 마찬가지인데 이번에는 투자하는 지역 내지는 위험자산 중에서 어떤 특정 산업에 집중해서 투자하는 그런 케이스라고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조태현 : 갖고 있는 포트폴리오를 보니까 전부 다 반도체 기업이더라 이런 건가요?
◇ 유혁 : 맞습니다. 반도체 내지는 2차 전지 같은 국내 그런 ETF 가입하셨던 분들도 그런 케이스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조태현 : 그렇다면 첫 번째 케이스. 한 쪽 상품에 쏠린 케이스 이럴 때는 분산 투자가 어떻게 작용하게 되는 건가요?
◇ 유혁 : 네 예를 한번 들어보겠습니다. 그 구조화 상품의 기초 자산이라고 하는 것들이 과거에는 종목 가지고도 많이 했는데 요즘에는 변동성 이슈 때문에 은행 내에서는 대부분 지수로 구성돼 있는 그런 상품들로 구성이 되어 있는데 그 대부분의 상품이 구성돼 있는 지수가 대표적으로 S&P500 내지는 유로스탁스50, 이 두 가지 상품 지수에다가 국내 코스피200 내지는 닛케이225를 조합을 해서 3가지 형태를 기초자산으로 쓰고 있는 그런 상품들이 대부분인데 한번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예를 들어서 2009년부터 금융위기 이후부터 2009년부터 지난 2024년 동안, 약 한 15년 동안 우리가 연 5%짜리 ELS를 계속 가입을 했다고 가정을 해 보겠습니다. 그러면 15년 동안 5%의 수익을 곱하기를 하게 되면 약 한 75%의 수익을 우리가 얻을 수 있었겠죠. 그리고 정기예금보다는 더 많은 수익이 있기 때문에 만족할 수 있을지 모르겠으나 그 기초자산 중에 하나인 S&P500에 직접 투자했다고 가정을 한번 해보겠습니다.
◆ 조태현 : 아 그러면 얘기가 달라지죠.
◇ 유혁 : 그렇게 되면은 제가 계산을 해 보니까요. 15년 동안 약 500%가 넘게 되더라고요. 그러면 우리가 어쨌든 물론 하방에 대한 어떤 안전 마진이 있기 때문에 ELS를 선호하는 거는 충분히 이해는 합니다만 모든 자산을 거기에 투자하기보다는 한계가 있는 분명한 상품이기도 해요. 아무리 많이 올라가더라도 주기로 했던 이자에 이상을 주지 않기 때문에. 그래서 그런 부분들을 섞어서 이렇게 투자를 하셨으면 훨씬 나은 성과를 기대해 볼 수 있지 않았을까 그런 아쉬움들이 있는 거죠.
◆ 조태현 : 그러니까 약간 위험자산과 안전자산을 섞는 그런 것들의 포트폴리오 구성. 알겠습니다. 두 번째로 사례로 말씀해 주신 게 섹터나 국가의 쏠림 현상 이 부분에는 포트폴리오가 어떻게 작용을 합니까?
◇ 유혁 : 예 역시 특정 국가라고 한다 그러면은 대표적으로 우리가 한국 분들은 국내 주식에 많이 익숙하기도 하다 보니까 흔히 자국의 어떤 편향 현상들이 나타나잖아요. 그래서 국내 위주의 포트폴리오를 가져가시는 분들이 전에는 많았어요. 그리고 거기에다가 세금 이슈가 있기 때문에 비과세 혜택으로 인해서 국내 주식을 선호하는 경향들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아까 말씀드린 것처럼 그 기간 동안, 2009년부터 2024년까지 15년 동안 S&P500이 약 한 500% 올랐는데요. 국내 주식은 그거에 비하면 수익률이 현격히 떨어집니다. 그러니까 한국에만 투자하셨던 분들은 상대적으로 이렇게 미국이랑 이런 부분들을 선진국으로 섞어서 운영하셨던 분들에 비해서는 수익이 저조할 수밖에 없죠.
◆ 조태현 : 그런 면에서는 이렇게 섞어야 된다 섹터도 마찬가지입니까?
◇ 유혁 : 예 섹터도 마찬가지인데요. 우리가 아무리 좋은 섹터라 하더라도 경기에 따라서는 시즈닝으로 이렇게 영향을 받지 않습니까? 예를 들어서 2차 전지 같은 경우는 최근에 캐즘이라고 그래 가지고 상당히 어려운 국면을 겪고 있었고 최근에 국내 시장 기준으로는 각광받는 섹터가 방산이나 조선 쪽에 좋은 흐름을 보이고 있는데 작년 중순까지만 해도 굉장히 인기가 좋았던 반도체 섹터도 역시 최근 들어서는 많이, 그러니까 이 섹터라는 게 경우에 따라서 좋을 때는 시장의 어떤 아웃퍼폼을 하면서 시장을 이끄는 어떤 그런 좋은 성과를 보이기는 하다 합니다만 이런 인기나 어떤 이런 시장의 어떤 그런 각광이 지난 상태에는 이 섹터 특징이 하락 폭도 굉장히 크고요. 속도가 굉장히 빠릅니다. 그래서 대처하기가 되게 어렵기 때문에 이 섹터 위주의 포트폴리오가 나중에 좋을 땐 좋지만 안 좋을 때 상당히 안 좋은 결과들이 많이 많더라는 거죠. 그래서 이런 부분들은 어떻게 저희들이 컨설팅 해 드리냐면 섹터를 하지 말라는 뜻은 절대 아니고요. 전체적으로 시장을 두루두루 투자할 수 있는 인덱스 펀드 같은 어떤 그런 구조에 섹터 펀드를 약간 가미하는 형태로 운영을 하시기를 추천을 드려요. 다른 말로는 지수형 상품들을 우리가 약간을 길게 운영할 수 있는 전략적 어떤 자산 운용 방식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고요. 섹터 관련된 부분들을 다른 표현으로는 저희가 약간 전술적 자산 어떤 운용이다 그래서 그런 부분들을 조합을 해서 분산을 하도록 말씀을 드리고 있고 같은 맥락에서 말씀드렸던 구조화 상품 같은 경우도 역시 그런 부분에 있어서는 시장이 약간의 횡보 구간이나 하락을 하더라도 큰 폭의 하락이 아닌 종목의 시장에서는 대안 상품으로 좋은 상품 역할을 해줄 수 있기 때문에 그런 것들을 두루두루 섞어서 운용할 수 있는 그런 포트폴리오를 저희들이 안내를 드리고 있습니다.
◆ 조태현 : 조선 요즘 좋다 그래도 얼마 전까지만 해도 플랜트 때문에 굉장히 오랫동안 불황이었잖아요. 이런 점들을 고려하면 말씀하신 그런 포트폴리오의 중요성 다시 한 번 알 수가 있는데 우리도 포트폴리오라는 말은 다 알아요. 근데 분산을 어떻게 해야 되냐 이 부분이 굉장히 어렵거든요. 이건 어떻게 해야 됩니까? 기준 같은 게 있습니까?
◇ 유혁 : 예 저희가 분산이라고 하면 크게 한 4가지 정도로 조금 세부적으로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일단은 먼저 자산에 대한 분산이 있을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서 주식이랄까 채권, 부동산 또는 예금 최근 들어서는 대체 자산이라고 그래 가지고 금이나 원유, 리츠 같은 대안 투자 상품 같은 것도 이런 형태의 자산의 어떤 형태에 대한 분산일 수 있을 것 같고요. 두 번째는 아까도 말씀드린 것처럼 지역에 대한 분산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아요.
◆ 조태현 : 유럽이나 미국이나.
◇ 유혁 : 그렇죠 그런 분산 포함해서 시간에 대한 분산할 수 있겠죠. 단기적인 투자냐 중장기적인 투자냐 이런 시간에 대한 분산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우리가 지역에 대한 분산을 하다 보면은 통화가 자연스럽게 국내 원화로만 투자되지 않고 해당 국가의 통화로 자연스럽게 분산 투자가 되는데 적어도 모든 국가의 통화를 분산하기는 어렵지만 달러에 대한 분산 정도는 우리가 지금 제가 고민이 필요하지 않을까. 그래서 그런 측면에서 두루두루 이렇게 분산을 저희들이 네가지 형태를 고려해서 고객님들의 포트폴리오를 관리하는 데 그런 하나의 원칙으로 잡고 있습니다.
◆ 조태현 : 알겠습니다. 지금까지 포트폴리오 구성에 대한 이야기 나눠봤습니다. 우리은행 WM영업전략부 유혁 부부장과 함께 했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유혁 : 감사합니다.
#분산투자 #포트폴리오 #ELS #반도체 #S&P #조선 #통화
[저작권자(c) YTN radio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